들어가기전에 몇 가지 알아둬야 합니다.
i) 스타가 아예 처음이라면, 유닛, 건물 단축키는 외워두기. (캠페인보다는 유즈맵이 단축키 외우기에는 더 좋습니다.)
제가 추천하는 단축키 외우기에 최적화 된건 유즈맵중에 컴까기류 입니다.
컴까기의 경우,
다른 유즈맵과는 달리 밀리와 가장 근접한 방식과 더불어 업그레이드의 중요성도 깨달을 수 있습니다. 단축키도 똑같다는 점에서 친근하게 배울수 있습니다. 유닛 상성관계도 파악하기 편하구요.
컴까기 유즈맵은 배틀넷에 들어가서

이런식으로 찾으면 됩니다.
컴까기도 나름 매니아층이 두터운 유즈맵이면서 밀리보다는 훨씬 수월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ii) 핫키 설정에 들어가서 프로브와 파일런 단축키 변경하기 (둘다 P에서 E로. 아래 사진 참고.)
일단 스타를 키면 이 창이 뜰 겁니다.

여기서 "Hotkeys" 선택 해줍니다.

빨간 네모 박스들을 클릭해줍니다.
기본(default) 넥서스에서 프로브 생산의 단축키가 P인데 E로 바꿔줍니다.

마찬가지로 프로브를 선택해서 파일런을 P에서 E로 바꿔줍니다.
일단 스타크래프트가 립버전에서 리마스터 되면서 가장 큰 변화중 하나가
핫키를 바꿀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적극 활용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부분은 프로토스 뿐 만아니라 저그나 테란도 마찬가지로 많이 들 바꿉니다.
(주로 저그는 오버로드를 o에서 v로 테란은 베슬 이레디에잇을 i에서 r로, 마인심기는 i에서 e로 많이 바꿉니다.)
바꾸는 원리는 왼손에서 단축키를 누르기 때문에 왼손의
동선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바꾸자는 원리입니다.
iii) 화면지정을 반드시 사용하기. (Shift +F2, F3, F4)
화면지정으로 일꾼을 생산할 것. 아래 유튜브 영상 반드시 참고.
https://youtube.com/shorts/ZdxklNPvVMM?feature=share
영상 속 파도님은 프로브 핫키를 P -> S로 바꿨지만,
앞서 언급한대로 P -> E 추천합니다.
이유는 초반에 습관적으로 초보자들이 넥서스와 일꾼사이를 드래그하면서 일꾼을 S(stop)하는 경우가 발생해서 입니다.
(참고로 리마스터 전에는 핫키 수정이 불가능해서 9,0번에 넥서스 지정해서 9p0p식으로 많이 뽑았는데
리마스터가 나온 후로 굳이 그럴 필요 없이 P에서 E로 바꾸고 화면지정으로 뽑는게 경제적입니다.
고수들 대부분은 저런 방식으로 일꾼을 생산합니다.
습관적으로 일꾼이 나오기 직전에 미리 찍어두는
"f2->넥서스클릭->E->f3->넥서스클릭->E" 리듬감이 제일 중요.
iv) 공방이 아닌 무조건 리마스터 구매후 등급전(래더) 하기. (초반에 배치 다 나가고, 점수를 F까지 떨궈두기)
기본적으로 공방 1:1은 안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공방은 래더로 치면 D~B 수준에 유저 스펙트럼이 다양하기에
입문자가 느끼기에 진입장벽이 너무 높습니다.
몇판 유튜브 강의 본 걸로 빌드 흉내내더라도 못 이깁니다.
계속 지기만 하면 쉽게 흥미를 잃고 접을 가능성 농후하고.
등급전 F~E가 훨씬 수월하고 배우기도 좋습니다.
이후 배우는 과정과 디테일들은 다른 포스팅에 올리겠습니다.
스타에 관한 아무 질문도 괜찮으니
댓글이나 스타크래프트 Sleepy#16237로 귓속말 보내주세요!
'프로토스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프전 기어리버 입문빌드 강추!! (4) | 2023.02.12 |
---|